목차
인사말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섯 번째이자, 마지막 블로그 운영기 기사인데요. 처음으로 이 기획을 시작하던 때가 아직도 기억이 나는데 벌써 마지막 기사를 쓰고 있네요. 지나간 시간만큼 제 블로그에도 수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제가 약 6개월 동안 블로그를 만들어 가며 느꼈던 점, 어떻게 블로그를 발전시켜 왔는지 작성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와 도움을 받았던 글들도 함께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저는 SSAFY 1학기 과정을 시작했을 때 블로그를 만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시작한 지도 어느덧 약 6개월이라는 시간이 지났네요. 사실 중간중간 블로그를 아예 새로 시작하기도 했어서, 제대로 운영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 지 약 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 많이 부족하고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습니다. 몇 달째 자투리 시간마다 블로그를 다듬고 있는데요. 어떤 내용을 기록해 두어야 할지 여전히 고민이 많고, 작성했던 글을 여러 번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블로그 개설하기
(1) GitHub.io
저는 SSAFY에 입과하고 Git에 대해 배웠고, 이를 계기로 GitHub 블로그를 만들게 됐습니다. 처음에는 Git이 익숙하지 않아, 매번 필기해 둔 내용을 보며 Git을 사용했었는데요. 블로그를 하며 어느덧 Git 사용에 익숙해져 나중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도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2) 내용 추가하기
그런데, 블로그는 개설했지만 내용은 쌓아가지 못했습니다. 한동안은 글이 쌓여 뿌듯하기도 했지만, 다시 읽어보고 지우는 시간이 반복됐습니다. 테마도 3~4번 바꾸고, 나중에 보니 블로그에 남아있는 게 없더라고요.
현재는 부족한 글이더라도, 우선 공부한 내용과 과정을 남겨두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그래서 회고록, TIL,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글이 블로그에 쌓여가고 있는데요. 나중에 보면 발전한 제 모습도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되더라고요. 각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아래 글은 기록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작성해 둔 글입니다. 꼭 남에게 공개된 플랫폼이 아니더라도, 잘 쓴 글이 아니더라도 기록을 해두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많다고 합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며 저도 그렇게 느끼고 있기도 합니다.
[2차 프로젝트 / 회고] 기록의 중요성 (feat. 개발 블로그 쓰는법)
[2차 프로젝트 / 회고] 기록의 중요성 (feat. 개발 블로그 쓰는법) 2차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확실히 1차 프로젝트 끝난 후 바로 진행해서 그런지 심력, 체력적으로 많이 지쳤다. 예민한 육신을 가
habitual-history.tistory.com
회고록 및 TIL
(1) 회고록
블로그를 시작하자마자 제가 제일 먼저 했던 것은 매월 말 회고록을 작성하는 일이었습니다. 1학기 과정은 개념 학습과 실습에 집중돼 있어, 어떤 공부를 했는지 중점적으로 기록했습니다. 현재 월 단위로 작성하고 있지만, 나중에는 프로젝트 단위로 작성해도 좋을 거 같더라고요.
처음에는 회고록에 뭘 작성해야 하나 막막하기만 했었는데요. 다른 분들의 회고록을 많이 읽어봤습니다. 꼭 기술적인 내용이 아니더라도, 내가 반성할 부분과 앞으로 계획, 잘한 점 등을 작성해 두고 나중에 되돌아보면 좋더라고요.
[회고]2022년 상반기 회고
- 2022 상반기 회고를 한다. 1.들어가기 회고라는 것을 쓰는 것은 상당히 부끄러운 것 같다. 뭔가 공개된 곳에 내 히스토리를 적는게 INFJ인 나에게 있어서 상당히 부담이기도 했고, 뭔가 인스타그
roadofdevelopment.tistory.com
아래 게시글은 제가 최근에 읽었던 글인데요.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회고록 작성을 꼭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찾아봤던 글입니다. 회고 방법도 소개해 주고, 프로젝트 회고록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2학기 프로젝트 진행 방법인 애자일 프로세스에서 회고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 수 있더라고요.
개발자의 공유 문화 이모저모 (2) 회고 문화 - 인프런 | 스토리
기록도 점검도 셀프! 개발자는 왜 회고를 할까요? #오픈소스 #기술블로그 #회고문화 바쁘게 일하고 공부하다 보면 시간이 훌쩍 지나있기 마련이죠. 그렇지만 모든 일을 다 기억할 수는 없는
www.inflearn.com
(2) TIL
TIL에는 2학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스스로 학습한 부분들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공부한 내용을 전부 정리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기도 했지만, 아래 소개할 글을 읽고 나서 부담감을 좀 덜고, 나름의 TIL을 만들어 가려고 준비 중입니다.
아래 글은 6개월 동안 TIL을 작성하고 난 뒤의 후기를 적어둔 글입니다. TIL을 처음 작성하시는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공부한 내용을 전부 적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무엇을 공부했는지 적어두셨라고요. 스터디 플래너와 비슷한 역할로 사용하신 것 같습니다.
6개월간의 TIL 회고 (꾸준히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 · 초보몽키의 개발공부로그
wayhome25.github.io
포트폴리오 만들기
최근에는 블로그에 1학기 관통 프로젝트에 대한 포트폴리오 작성을 했었는데요. 이 부분 역시 수많은 수정을 거쳤었습니다. 제가 가장 신경 쓰고 있는 부분이자, 가장 어렵다고 느낀 부분이기도 해요. 앞서 말씀드린 회고록, TIL은 제가 보기 위한 글이지만, 포트폴리오는 보여주기 위한 글이니까요.
제가 가장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생각하는 글은 바로 아래 글인데요. 처음에는 화려하고, 잘 만들어진 포트폴리오를 보며 따라가기 바빴는데, 이 글을 읽고 블로그를 다시 만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포트폴리오가 추구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나와있으니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합격률을 높이는 개발자 포트폴리오의 모든 것 | 패스트캠퍼스
그런 포트폴리오로 취업할 수 있을까? 취준생이 알려주는 본격 '좋은 포트폴리오' 탐구생활
fastcampus.co.kr
마무리
아쉽지만, 블로그 운영기 기획 기사는 여기까지입니다. 블로그를 운영 중이신, 또는 준비 중이신 많은 분들이 도움을 받으셨길 바랍니다 :)
다음 달부터는 새로운 기획 주제로 찾아뵐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이전 기획 기사 #5 개인 개발 블로그
개발 블로그 시작하기 #5. 개인 개발 블로그 살펴보기
인사말 안녕하세요. 오늘 글은 블로그 운영기 기획 5번째 기사인데요. 오늘은 개인 개발 블로그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다른 블로그를 살펴보면서 배움도 얻고, 블로그 운영을
p-lay-ground.tistory.com
'SSAFYcial > 기획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에 대해 알아보자 #2. JDBC, MyBatis, JPA (0) | 2023.04.03 |
---|---|
Spring에 대해 알아보자 #1.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3.03.03 |
개발 블로그 시작하기 #5. 개인 개발 블로그 살펴보기 (0) | 2022.12.30 |
개발 블로그 시작하기 #4. IT기업의 개발 블로그 살펴보기 (0) | 2022.11.30 |
개발 블로그 시작하기 #3. 블로그 플랫폼 추천 (2) GitHub 깃허브 (0) | 2022.10.28 |